-
람다 변이 바이러스는 무엇인가?건강 지식 2021. 7. 14. 22:57728x90
1년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세상에서 새로운 종류의 변이 바이러스 또한 서서히 우리에게 익숙해져 가고 있습니다.
인도 그리고 영국으로부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기존의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전염성이 더 높았고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 많은 확진자 수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많은 연구자들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날 때마다 그것에 대해 심도 있는 관찰과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처럼 아직 전 세계가 코로나 백신 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급속한 확산과 싸우고 있는 이 와중에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람다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했습니다.
람다 변이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람다 변이 바이러스는 남미, 특히 페루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종류 중 하나입니다.
올해 6월 14일 세계 보건기구인 WHO는 람다 변이 바이러스 사례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람다 변이 바이러스를 주요한 변이 바이러스로 분류하였습니다.
세계 보건기구는 6월 중순 보고서에서 람다 변이 바이러스는 여러 나라의 상당한 지역사회 전염률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어디에서 확산되고 있나요?
세계 보건기구는 람다 변이 바이러스는 29개 국가에서 발견되었다고 하였고 특히 남미에서는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남미의 람다 변이 바이러스 관찰 사례>
페루: 2021년 4월 이후 발생한 코로나 확진자 중 81%가 람다 변이 바이러스와 연관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르헨티나: 2021년 2월 셋째 주 경부터 람다 변이 바이러스가 유행하고 있으, 2021년 4월 2일부터 5월 19일까지는 코로나 확진자의 37%를 차지했다고 하였습니다.
칠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난 60일 동안 관찰된 확진자의 32%를 차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영국 공중보건국에서는 6월 24일까지 26개국에서 람다 변이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고 하였으며 이 목록에는 칠레, 아르헨티나, 페루, 에콰도르, 브라질, 콜롬비아, 미국, 캐나다, 독일, 스페인, 이스라엘, 프랑스, 영국, 짐바브웨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람다 변이 바이러스가 더 위험한가요?
WHO와 그 밖의 공중 보건 기구들은 람다 변이 바이러스가 다른 변이 바이러스들에 비해 전염성이 더 강한지 등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WHO는 6월 중순에 람다 변이 바이러스는 항체 중화 저항성이 증가하거나 전염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의 징후가 의심되는 돌연변이가 다수 발생한다고 밝혔습니다.
확실한 것은 아직은 람다 변이 바이러스가 델타 변이 바이러스와 같은 우세종으로 지정되지는 않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전염성이 증가하거나, 심각성이 커지거나, 보건 당국의 대응책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등에 따라 우세종으로 지정될 수 있는 가능성은 열려 있습니다.
백신은 람다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을까요?
아직 람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등 우리나라에서 접할 수 있는 주류 백신의 효능에 대한 사례나 연구는 많지 않습니다.
현재 람다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는 남미의 사례를 통해 간접적으로 나마 알아보자면, 남미 지역은 시노팜과 같은 중국 백신 의존율이 높은 편입니다.
칠레에 있는 한 대학에서 중국의 코로나 바카 백신을 2회 접종한 의료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람다 변이 바이러스의 돌연변이가 면역 이탈 및 감염성 증가와 같은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람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더 이상의 변이 바이러스는 나타나지 않기를 바라며, 하루빨리 많은 분들께서 백신을 접종받으시고 건강한 삶을 보내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728x90'건강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방병 증상과 치료법은? (0) 2021.07.21 더위 먹었을때 증상은? 대처법과 예방법은? (0) 2021.07.19 여드름 부위별 원인! (0) 2021.07.12 여름 제철과일 수박 효능 6가지! (0) 2021.07.10 델타 변이 바이러스 증상은? (feat. 영국 통계) (0) 2021.07.08